국민연금 수령나이 예상 수령액 조회하기 총정리

    반응형

    직장을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월급에서 국민연금이 공제되어 납부하고 있는데요. 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돌입하면서 90년대생부터 연금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어 점점 국민연금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수령 나이와 예상 수령액 조회하기 등을 자세히 소개해드립니다.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사회보험의 일종으로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기본적인 수단으로, 국민을 빈곤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인 제도적 장치입니다. 만 18세부터 60세까지 직장 생활을 하는 소득이 있는 모든 국민은 의무적으로 가입하여 납부하게 됩니다. 

     

    나이가 들어 예기치 않은 질병이나 상해, 장애 등이나 생계를 꾸려가지 못할 때, 사망하였을 때 매월 연금으로 지급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꾸려갈 수 있게끔 돕는 소득보장제도입니다.

     

    국민연금의 가입형태는 네 가지로 분류됩니다. 바로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입니다.

     

    ① 사업장 가입자 

    국민연금에 가입된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사업주와 근로자 및 지역가입자가 취업하게 될 경우 자동으로 사업장 가입자가 되며 지역가입자 자격은 상실됩니다.

     

    ② 지역가입자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은 사업장이 아닌 사람은 자동적으로 지역가입자가 됩니다. 하지만 소득활동을 하지 않는 27세 이하는 지역가입자가 될 수 없습니다.

     

    ③ 임의가입자

    사업장 / 지역 가입자가 될 수 없는 60세 이전 사람이 가입신청을 통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④ 임의계속가입자

    가입자였던 사람이 60세가 되어서 자가 가입기간(최소 10년)의 부족으로 연금을 받지 못할 경우, 가입 기간을 임의로 연장할 수 있고 원할 경우 65세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실수령액국민연금 실수 나이국민연금 계산하기

    국민연금 수령 나이

    국민연금은 최소 10년 이상(120개월) 가입하고 납입해야 하며, 노후 수급 연령에 매달 수급받게 됩니다. 국민연금을 수급받는 나이는 출생연도별로 상이한데 아래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
    출생년도 나이
    1952년생 이전 60세
    1953~56년생 61세
    1957~60년생 62세
    1961~64년생 63세
    1965~68년생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위와 같이 출생년도에 따라 수령 나이가 달라지는데 이는, 애초 현행 법정 정년(60세)을 기준으로 하였다가 1차 연금 개혁 때 5년마다 1세씩 늦어져 지금의 65세에 지급받게 되었습니다. 2022년인 현재 국민연금(노령연금)을 지급받는 나이는 62세로 1957년생~60년생까지입니다.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힘들게 버는 돈을 나중에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계실 겁니다. 자신의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예측해볼 수 있는데 그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예상금액 간단 계산

    공인인증서를 통해 비교적 정확하게 예상금액을 측정하는 방법과 간단하게 대략적인 금액 측정이 가능합니다. 먼저 인증 없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체크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① 국민연금공단사이트(www.nps.or.kr)를 통해 예상 수령액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두 번째에 예상 연금 간단 계산을 클릭합니다.

     

     

    ② 예상연금 간단 계산 페이지가 뜨는데 월 납입보험료를 200,000원이라 가정했을 때, 예상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10년 가입 251,510원
    15년 가입 374,060원
    20년 가입 496,600원
    25년 가입 619,140원
    30년 가입 741,690원
    35년 가입 864,230원
    40년 가입 986,770원

     

    이는 월 소득 2,220,000원을 받을 때 적용되는 산출된 예상금액입니다. 예상 연금이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이 아니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예상연금 간단 계산을 통해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 3가지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인증 후 예상금액 조회

    공인인증 인증 후 예상금액 조회방법이 위의 간편 계산보다 정확하게 예상금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①국민연금공단 사이트 하단의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합니다.

    ※ 본인이 만 60세 이후 받을 연금 예상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좌측의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③ 공인인증서 및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해줍니다. 각자 편하신 방법으로 선택하세요

     

     

    ④ 공인인증서 or 간편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해주세요

     

    ⑤ 노후준비 서비스 페이지로 이동하면 우측의 <국민연금 예상액>을 클릭해주세요

     

    국민연금 예상액 조회

     

    ⑥ 국민연금 예상액 조회가 완료됩니다. 

     

     

     

     

     

    국민연금 추납 제도

    국민연금 추납 제도는 가입자가 갑자기 실직, 이직, 건강 등을 사유로 국민연금을 내지 못하던 기간을 추후에 납부하는 제도로, 국민연금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제정된 최소한의 안정장치라 할 수 있습니다.

     

    이 후, 추가 보험료를 납부하면 가입기간으로 인정되며 나중에 받을 연금 수령액도 상승하게 됩니다. 하지만 추납제도를 악용하는 사례들도 늘고 있습니다. 

     

    보험료를 낼 수 있는 상황에서도 연금보험료를 내지 않고 있다가 연금을 수령할 시기가 되면 큰돈의 보험료를 한꺼번에 납부하여 더 많은 국민염금을 받는 사례들이 늘고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추납 악용 사례는 고소득층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추납 제도의 납부 가능 기간을 10년으로 축소하였고, 기존에는 20년이 넘어도 추납이 가능했습니다.

     

     

    국민연금 추납제도국민연금 추납 방법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국민연금 받을 수 있나?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하던 국민연금 재정계산을 예측해보면 국민연금은 2041년 최고 지출을 기록하며, 이후 2057년 국민연금이 소멸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노령화 인구의 증가화 저출산율을 기반으로 예측하고 있는데요. 출산율은 당시 1. 24명에서 지금은 가구당 출산율이 한 명도 채 안대기 때문에 미래의 국민연금 가입자수는 당연히 줄어들고, 연금을 수령하는 사람들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1990년대생 이후부터는 국민연금이 모조리 소멸되어 국민연금을 가입했지만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따라서 현 윤석열 정부는 기존의 9%였던 보험료율을 12%까지 높이고 중장기적으로는 지급대상을 축소하고 재정을 지속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민연금 인상

    오늘 7월 1일 자로 국민연금 보험료 산정 기준이 모두 인상되었습니다. 보험료 산정 기준인 기준소득월액의 상한액과 하안액의 인상되는데요.

     

    이를 적용하면 최소 1,800원부터 많게는 2만 6100원까지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월소득이 524만원 이상 버는 고소득자는 국민연금 최고 납부액인 471,600원에서 26,100원이 오른 497,700원까지 오르게 됩니다.

     

    기준소득 하안액도 인상되는데 현재 국민연금 최저 보험료는 29,700원으로 1,800원이 인상되어 31,500원까지 인상됩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기준 소득 상한액은 치솟는 물가와 임금으로 실제 국민연금 가입자의 소득 수준을 반영하지 못하며 공적연금, 건강보험에 비해 비교적 낮은 것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